대상포진 전염 및 증상과 치료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 전염 및 증상과 치료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Herpes zoster)은 피부분절을 따라서 수포성 발진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의 일차 감염 후 감각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대상포진 전염 및 증상과 치료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 전염

대상포진의 수포에는 VZV가 있기 때문에 VZV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사람이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하는 경우 VZV가 재활성되면서 수두를 일으킬 수 있다.

국소적인 대상포진의 경우 수포가 생기기 시작할 때부터 모든 병소에 가피가 생길 때까지 전파가능성이 있으며 대개 병소와 직접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대상포진 증상

발진과 수포가 등신경뿌리 신경절이 분포하는 편측에 국한적으로 발생하며, 해당 부위 심한 통증과 지각 이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특이하게 대상포진과 안면신경마비나 내이신경증상이 동반하는 람지-헌트 증후군(Ramsay-Hunt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대상포진의 합병증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소아에게 대상포진은 흔하지 않으며 발생하는 경우에도 증상이 경미하다.

 

*람지-헌트 증후군에 대한 자세한 정보

 


 

대상포진 치료

성인의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면 증상의 경감과 치료기간의 단축, 합병증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대상포진 예방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나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필수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에 포함되지 않는다.

 

접종대상 및 접종시기

– 약독화 생백신(종류: 조스타박스, 스카이조스터) : 50세 이상의 성인

– 재조합 백신(종류: 싱그릭스)

: 50세 이상 성인, 18세 이상에서 질병 혹은 치료로 인한 면역저하 또는 면역억제로 인하여 대상포진의 위험이 높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

(예: 자가조혈모세포이식자, 고형암 환자, 혈액암 환자, 고형장기 이식 환자)

 

대상포진을 앓은 후 대상포진 백신 접종의 적절한 시기는 약독화 생바이러스백신의 경우 회복 후 최소 6∼12개월이 경과한 후 접종하는 것을 권장하고, 대상포진 재조합백신의 경우 명시된 기간은 없지만 급성기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접종하지 않는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 접종 부위 발적, 통증, 부종과 같은 국소반응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다른 예방접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클릭

 


 

*출처 : 질병관리청, 특성이미지(Freepik), 본문이미지(Freepik)

 

Leave a Comment